본문 바로가기

마이크로 어드벤쳐

아산 자전거여행 (곡교천>지중해마을>허영만맛집>온양민속박물관)

728x90
반응형
 

우리가 함께한 라이딩

8살, 지금으로 부터 20여년전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보조바퀴를 처음떼던 그 시기부터자전거는 내 인생의 "자유"라는 항목을 선사해 주었다. 청소년기에도 틈틈히 생활자전거를 타고 동네를 누

huibahuiba.tistory.com

그동안 우리가 함께한 라이딩코스
최대한 기억나는 대로 겹치지 않는 
코스 위주로 기록하는 중

오늘은 샤방하고 신선한 코스로 떠나보자
아산!

생~~~각보다 가까운 아산
수지에서 1시간 약간 넘게 걸린다
(차가 하나도 안 막혀서 그런 듯)

오늘의 주차 스팟
(곡교천 주차장)

주차하고 (의외로 거이 만차직전)
룸 꺼내서

곡교천 자전거길을 달린다

그러다 잠시 이순신대로로 나와 

지중해마을 도착

여기 예전에 티비에서 보고
실제 분위기가 어떨까 궁금했는데

내가 생각한 것보단
훨씬 활성화되어있고
활기찬 분위기였다

베이커리 아산이라는 곳에서 빵구입

자전거가 어울리는 동네

원래는 지중해마을에도
식당이 많아서 거기서 먹어도 되긴 하지만

배고 덜고파서 8킬로를 더 달려

허영만의 백반기행에 나왔던
식당으로 왔다

낡고 허름한 외관의 신정식당

70년이나 된 식당이라니 

백숙도 아니고 삼계탕도 아닌 닭수육
짭짤하고 부드럽고 겨자장이랑 잘 어울림

그리고 밀면
원래 밀면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나지만
닭백숙과 함께 하기엔 적절한 메뉴였음

무엇보다 가격이 너무 착하다
밀냉면+닭수육=22,000원

양옥집 동네를 거쳐

도착한 온양민속박물관
입장권은 8천원
안내해 주시는 분께서
자전거는 이쪽에 두라고 하셔서 좋았음

일단은 상설전 부터 보기로
박물관 들어가는 길이 이렇게 예쁘다니

입장권은 스티커

상설전은 우리가 자주 보던 형식의
시대순으로 정리한 진열 전시였고

아트샵에서 구매한 공기세트
공기 5알과 파우치가 6천원
(조카랑 만나서 공기 하려고 구매)
+
색동돌은 고양이 장난감으로 사봄 ㅋㅋ

어딜 가도 한적한 아산 좋다

타이머 맞춰서 찍을 장소 물색

짜잔

숨은 남편 찾기

무지개가 찍힌걸 이제 봤다!

저기 정자에서는 차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거 같았다.
(잘 어울려)

야외공간 곳곳에서
숨은 그림 찾기 같은 느낌으로
전시를 준비 중인 거 같았다

중간에 잠시 대나무 숲도 만나고

곳곳에 쉬는 공간도 많다

그리고 기획전이 열리고 있는
구정아트센터 

온양박물관 안에 별채처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인데
이곳이 그 유명한 건축가 이타미 준의
한국 첫 번째 건축이라고 한다

각 지역별 야생의 흙으로
만든 토기 작품들을 볼 수 있음

그리고 중앙전시
딱 봐도 뭔가 현대적이고
결합적이고 재생적인 느낌적인 느낌

천장이 왜케 배 같지?
이러고 있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아산이 충무공의 땅이라는 상징성을
살리기 위해 지붕을 거북선처럼 만든 거라고 

건물의 소재가 나무, 돌 이런 자연적인 것들

뭔가 있을 거 같은 나선형 계단

하지만 아무것도 없었다.

옥상문 닫혀있어서 아쉽

뭔가 해외 비엔날레에 온 것 같은 느낌

밖으로 나오자 낮은 카페건물이 보여서 

들어가 봤는데 카페옆집에도
이런 귀여운 상설전이 열리고 있었다

'쪽'이라는 신비로운 식물을 알게 되었다

쪽빛이 만들어지는 과정
과정사진도 감각적이다

창밖풍경이 작품

아까 산 빵 가지러 가는데
고냉이 만났다!!

아잉 귀여워
약간 우리 반도친적이구나?

카페 온양
상점에 지역명 들어간 거 좋음

심플하고 정갈한 카페 

머신도 라마르조꼬!

베이커리 아산에서 산 빵이랑
카페온양에서 산 아아 먹기

집으로 출발하려는데
엔진오일 질질 새고 경고등 들어와서
차만 센터로 보내고
버스 타고 역으로 가는 중

근처 제일 가까운 역에 도착했는데
뭔가 익숙하다 싶어서 검색해 보니
알고 보니 여기가 나의 해방일지의
당미역이었다!!!!!
구씨와의 데스티니를 위해
며칠 전 내가 엔진오일을 간 거였을까?

성환역에서 수원여까지 급행 타고
수원역에서 죽전역까지 분당선 타고
이래저래 거이 2시간 반 걸림
휴휴
내일은 판교 폭스바겐으로 싸우러 가야 할지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