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이크로 어드벤쳐

동네 한바퀴(신당동떡볶이타운-황학동만물시장-종묘-명동-남산시민아파트)

728x90
반응형

 

클래식을 먹는다. 신당동 즉떡

 

떡볶이와 즉떡은 불쑥불쑥 먹고 싶은 메뉴 1순위다.

신당동 떡볶이타운은 10여 년 전에 한 번가 보고 잊고 살고 있었는데 불현듯 먹고 싶어 졌다.

10년이 지났지만 변한 게 없었다. 오래된 탁자와 의자 식기들 심지어 음악은 20년 전 음악들이 나오고 있었다.

맛은 뭐 말해 뭐하겠는가! 특히 야끼만두는 즉떡의 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감초로 완벽한 거 같다.

요즘 확 찐자가 되어 과감하게 볶음밥은 패스하고 걷기 시작한다.

 

 

추억의 LP 사실 우린 테이프랑 CD세대
공중전화감성

 

아무래도 이건 레트로 인테리어 소품의 역할로만 판매되겠지?

초딩중딩시절 공중전화에서 012로 삐삐 치던 생각나네? 아차차 난 015 

 

황학동 설치미술

 

이것은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곳이라는 걸 보여주려고 의도한 설치미술인가? 굉장히 장소 특정적이고 조형적이다.

 

 

청계천

 

10여 년 전 미술전공 대학생들의 메카 을지로-방산시장. 그땐 지금처럼 핫한 카페는 없었지만 우리들의 졸전을 도와주시는 전문가 선생님들과 각종 재료들이 있었지. 이쪽 동네는 웬만하면 걸어서 돌아다니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

 

 

종묘 벚꽃

 

살면서 을지로-종로 이쪽은 수천번도 더 왔지만 막상 종묘 안에는 들어가 본 적이 없음을 자각하고 바로 들어가 봤다.

처음 반겨주는 건 낮고 넓은 벚꽃나무 한그루. 벚꽃이 모여있는 것도 좋지만 이렇게 단독으로 있는 모습도 우아해 보여서 좋더라.

 

 

뒤를 돌아보니 압도적인 연못이 나타났다. 왠지 조선시대에도 이런 모습이었을 거 같은 느낌? 꼰머특) 갑자기 사극 연기 시작함 "여봐라 짐이 지금 목이 타는구나." 

 

 

종묘의 나무들은 괜히 더 우아해 보인다
미국의 건축가 프랭크게리가 감탄한 종묘 건축
의외의 벛꽃명소로도 적당하다

 

 

 

궁을 보며 커피한잔 

 

종묘를 나오면 바로 옆에 한산한 길이 있어서 들어가 보니 '서순라길'이라는 이름의 길이 있었다. 궁을 보면서 카페인을 충전하고 다시 걸을 준비. 이 정도면 걷기 중독, 산책 중독자인 듯. 거짓말 조금 보태서 20대엔 서울 곳곳을 거이다 걸어 다녔었다.  특히 양화대교를 종종 걸어 다니곤 했는데, 같은 동네 출신 자이언티가 양화대교라는 곡을 발표했을 때 묘한 동질감 느꼈던 기억이 있다.

 

 

텅빈명동

 

종묘에서 명동성당 방면으로 걸으면서 오랜만에 명동 한복판을 구경하는데 자주 가던 A-land도 문을 닫았고 다른 여러 상점들도 비어있는 상태였다. 이제 고양이를 키우는 집사가 되고 나니 저런 베너를 보면 마음이 안 좋다. 겁 많은 우리 애들이 저런 카페에서 낯선 사람들에게 사랑스러운 추억을 선물해야 하는 존재가 된다면.. 윽 맴찢

 

원래는 명동성당 앞에서 8100 버스를 타고 집으로 가야 하지만 여기까지 온 김에 남편은 스위트홈 촬영지인 남산 시민아파트에 가보고 싶다고 했다. 남산도 꽤 많이 가봤다고 생각했는데 시민아파트의 존재는 전혀 모르겠는 상태였다. 은근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들이 너무 대강대강인 경우가 많다.

 

남산 시민아파트 가는길 
밀레니얼세대의 중년부부
마지막 남은 시민아파트
낡은 아파트지만 벚꽃은 핀다
단지내에 검은 고양이 
아직 보상협의가 안된 일부세대의 입주민들은 계속 이곳에 살고 있다
단지내에 남산과 연결되는 둘레길도 있다. 주변 경관은 좋다.

 

 

오늘도 2만보를 걸어버린 우리들의 마이크로 어드벤처.

 

 

 

 

 

728x90
반응형